백자인형명기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본문

작품 정보

백자인형명기(白瓷人形明器)는 사후 세계에서의 안녕과 질서를 기원하며 묘에 함께 부장한 의례용 도자기입니다. 내세의 삶을 지키고 보살피는 존재로서 장례의식 속에서 중요한 상징적 역할을 합니다.


본 유물은 인물 형상의 명기 네 점과 동물 형상 명기 한 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팔·다리·손가락·발가락까지 섬세하게 표현하여 인물의 형태를 정성스럽게 형상화하였습니다. 일부 성별을 유추할 수 있어, 신분이나 역할과 관련된 상징성을 담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동물 형상의 명기는 사후 세계의 길을 안내하거나 보호하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명기의 수량과 세부 표현에서 보이듯, 단순한 의례 목적을 넘어 황천에서의 역할 분담과 질서를 암시하는 종합적 구성으로 보입니다. 이는 조선시대 장례문화를 보여주는 주요 자료로 볼 수 있습니다.





白瓷人形明器是随葬于墓中的礼仪用陶瓷器物,寓意对死后世界安宁与秩序的祈愿。在丧葬仪式中,这类明器象征着守护和照料来世生活的重要存在,具有显著的象征意义。


本组文物由四件人物造型明器和一件动物造型明器组成,人物明器在手臂、腿部、手指与脚趾等细节处均表现出精细刻画,体现了对人物形象的用心塑造。部分明器可依形体特征推测性别,或许反映了与身份或角色有关的象征含义。动物造型明器则可理解为在冥界中指引路径或守护亡者的存在。


从明器的数量与细致的表现方式来看,不仅具备一般性的礼仪功能,也可视为反映冥界中职责分工与秩序结构的综合性配置。这组明器是理解朝鲜时期丧葬文化与彼时死后观念的重要资料。





The white porcelain human-shaped funerary figurine is a ritual ceramic object buried in tombs to pray for peace and order in the afterlife. It played a significant symbolic role in funerary rites, representing beings that guard and care for life beyond death.


This artifact consists of four human-shaped figurines and one animal-shaped figurine. The human forms are carefully sculpted with intricate details, including arms, legs, fingers, and toes, faithfully capturing the human figure. Some of the figurines reveal identifiable gender trait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ymbolic meanings related to status or roles. The animal-shaped figurine may be interpreted as a guardian or guide for the soul’s journey in the afterlife.


As seen in the number and detailed expression of the figurines, their function likely extends beyond simple ritual use to imply a structured division of roles and order in the afterlife. This set serves a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funerary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